홈페이지의 검색엔진 최적화 기능을 통해 메타태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메타태그를 설정하여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이세요.
메타태그는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정보를 ‘메타 데이터’라고 부르는데요. 메타 데이터는 웹 페이지에 나타나지 않고, 검색 엔진이나 웹 크롤러를 통해 수집됩니다.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은 웹 페이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메타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획득된 정보는 페이지의 랭킹을 매기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혹은 그냥 무시될 수도 있습니다.
사이트 소유권 확인사이트 소유권 확인은 웹사이트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웹마스터 도구(예: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구글 서치 콘솔)에서 제공하는 메타 태그를 웹사이트의 HTML 코드에 삽입하고, 해당 메타 태그가 올바르게 추가되었는지 확인하여 소유권을 인증하는 방식입니다.
사이트 소유권 확인 - [ Naver 서치어드바이저 ]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접속
https://searchadvisor.naver.com/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
2. 사이트 등록
상단 메뉴에서 [사이트 등록] 클릭 -> 사이트 주소 입력 (예: https://www.example.com) -> 등록 방식 선택 – 일반적으로 URL 입력 방식
3. 소유권 확인 방법 선택
"HTML 태그" 또는 "메타태그" 방식 선택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다음과 같은 메타태그가 나옴<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고유코드" />
사이트 소유권 확인 - [ Google Search Console ]1. Google Search Console 접속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about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2. 사이트 등록
"속성 추가" 버튼 클릭 -> 도메인 유형 선택 -> "URL 접두어"를 선택하면 메타태그 방식으로 소유권 확인 가능
3. 소유권 확인 방법 중 "HTML 태그" 선택
확인 방법으로 "HTML 태그" 선택
아래와 같이 생긴 메타태그가 제공됨<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고유코드" />
메타 타이틀 (Title)메타 태그 타이틀은 웹 페이지의 제목을 나타내는 중요한 메타데이터로,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 표시되는 제목과 브라우저 탭에 표시되는 제목으로 사용됩니다. 메타 타이틀은 웹 페이지의 주제를 간략하게 요약하고, 사용자들이 페이지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50~60자 정도로 제한하여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잘리지 않도록 합니다.
메타 키워드 (Keywords)메타태그 키워드는 웹페이지의 내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HTML 태그로, 주로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활용됩니다.
키워드는 쉼표(,)로 단어를 구분하여 입력합니다.
(예) 이윰, 이윰넷, 이윰빌더, 홈페이지빌더
메타 디스크립션 (Description)메타 디스크립션은 HTML의 <meta>
태그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는 태그입니다.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 페이지를 설명하는 스니펫으로 나타나 검색 사용자에게 페이지 내용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영어나 기호를 기준으로 약 135~160자 정도가 적합하고, 한글이라면 80~110자 정도가 적당합니다.
검색엔진 허용범위 (Robots)검색 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웹 페이지가 검색 엔진에 색인되고 해석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웹페이지의 목적에 따라 검색 엔진에 어떻게 노출될지를 고려하여 로봇 메타 태그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ndex, follow : 이 문서도 긁어가고 링크된 문서도 긁어감.
noindex, follow : 이 문서는 긁어가지 말고 링크된 문서만 긁어감.
index, nofollow : 이 문서는 긁어가되, 링크는 무시함.
noindex, nofollow : 이 문서도 긁지 않고, 링크도 무시함.
제작자 (Author)사이트의 문서 작성자로 만든사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퍼블리셔 (Publisher)사이트 발행 주체로 만든 단체나 회사이름을 입력합니다.
오픈그래프 이미지 경로오픈 그래프는 SNS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에서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요약 한 데이터입니다. 오픈그래프 이미지는 웹사이트의 링크를 공유하면 미리보기 형식으로 나오게되는 이미지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경로는 사이트주소/image/og_image.jpg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이미지 사이즈는 1200X630 픽셀 이미지로 제작하여 FTP로 업로드한 이미지 URL를 입력해 주세요.